특수교사는 단순한 '교사'라는 직책 이상입니다. 발달이나 신체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들과 함께하며, 그들의 가능성과 개별성을 존중하고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죠. 일반 교사보다 더 깊은 공감력, 인내심, 전문적인 교육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준비 과정도 조금 더 세심하고 다층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특수교사가 되는 구체적인 자격조건과 진입 방법, 공립과 사립의 차이, 관련 직종과의 구분까지 상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특수교사 되기 위한 준비 과정
특수교사가 되기 위해선 관련 학과 전공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교사와 달리 특수교육을 전공한 경우에만 응시 자격이 주어지는 시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필수 요건
☑️ 고등학교 졸업 후, 특수교육 관련 학과 진학
☑️ 교원자격증(특수교사 2급) 취득
☑️ 임용고시 준비 (공립 희망 시)
특수교육 관련 학과 예시
대학 유형 | 관련 학과명 예시 |
4년제 일반대 | 특수교육과, 재활학과 등 |
교육대학 | 유아특수교육과, 초등특수교육과 등 |
사범대 | 특수교육과 |
기타 루트
- 학점은행제를 통해 특수교육 전공 학점을 이수한 후
-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교원자격증 취득 가능.
'교사'라는 직업을 가지기 위한 일반적인 과정은 모두 비슷합니다. 초등교사, 중등교사 등과 마찬가지로 특수교사도 학점은행제도나 교육대학원 진학으로 충분히 교원자격증 취득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교육대학원 진학은 앞서 제가 작성한 '초등교사' 글에서 설명드렸듯이 2026년 인원 감축으로 폐지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생각이 있으셨던 분들은 방향 전환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아래의 링크는 전국의 대표적인 사범대 내, 특수교육과 홈페이지입니다.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홈티 유의사항 <홈티 유의사항> 1. 의뢰자와 만나기전 재학생의 경우 과사무실로 먼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이메일 및 전화) 2. 홈티가 결정된 경우에도 과사무실로 연락하여 알려주시기 바랍
sped.ewha.ac.kr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전화번호: 031-8005-3802 위치: 사범관 321호 학과홍보채널: 바로가기 학과소개 우리 특수교육과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특수교육대상아동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 양성
www.dankook.ac.kr
특수교육과
special.pusan.ac.kr
대구대학교 특수교육과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과 다함께 나누고 더하는 세상 다함께 웃는 내일을 위해 특수교육과
se.daegu.ac.kr
공립 vs 사립, 어디로 갈까?
구분 | 공립학교 | 사립,특수학교 or 복지기관 |
채용 방식 | 임용시험 합격 후 지역 배정 | 개별 학교나 기관에서 직접 채용 |
필요 자격 | 교원자격증 + 임용고시 합격 | 교원자격증 (시험 없이 채용 가능하기도 함) |
특징 | 안정된 처우,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 교육 외에도 치료, 재활 업무 병행 가능 |
공립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는 '같은 임용시험(특수교육)'을 통해 선발됩니다. 단, 초,중,고 특수 구분이 있으니 본인이 원하는 대상에 맞게 준비하면 되겠습니다.
임용고시 과목은 초등, 중등교사와 당연히 다릅니다. 1차 필기에서 특수교육학 과목 시험을 치루게 되며 2차 시험의 경우 구성은 초,중등 임용고시와 동일(면접, 수업실연)합니다.
관련 직종과의 차이점은?
특수교사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성격이 다른 직종들도 있습니다.
직종명 | 주요 업무 | 교사 자격증 필요 여부 |
특수교사 | 교육과 생활지도 | 필요 |
치료사 (언어, 작업 등) | 발달 치료, 의사소통 훈련 등 | 불필요 (관련 자격은 필요) |
복지사 | 생활 전발 케어, 부모 상담 등 | 불필요 |
통합교육 보조원 | 통합반에서 특수학생 지원 | 불필요 |
특수교사는 지식 전달을 넘어서 아이의 삶 그 자체를 이해하는 사람입니다.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누군가의 인생에 긍정적인 지문을 남기는 일이죠. 준비 과정이 다소 까다롭고 긴 여정일 수 있지만 그만큼 느낄 수 있는 감동과 성취도 크지 않을까요?
하지만 교사라는 직업은, 특히 특수교사라는 직업은 많은 고민을 거듭하고 또 거듭해야 합니다. 최근 몇 년간 일어난 사건들이 보여주듯이 이 직업은 때로 감정적으로도, 환경적으로도 쉽지 않은 상황을 맞닥뜨리게 됩니다. 특수교사는 교육적인 소명의식 뿐만 아니라 인권 감수성이 꼭 필요한 직업인 만큼 진로를 고민하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단지 '안정적인 공무원'이라는 이유로만 선택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