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K-패스와 비교 총정리

by 아이쏘유 2025. 8. 18.

서울시 기후동행 카드 발급 방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발급받으시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 

 

 

 

 

 

 

 

기후동행카드 신청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와 전국 단위의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대표적인 교통비 지원 정책입니다. 두 카드는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자신의 생활 패턴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문서는 두 카드의 핵심적인 차이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현명한 선택을 돕고자 합니다.

1.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무제한 정기권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액제 정기권입니다. 한 번 충전하면 30일 동안 서울 시내의 대중교통을 마음껏 이용할 수 있어, 교통 이용 횟수가 많거나 이동 거리가 긴 사람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 요금 및 권종 (30일 기준):
    • 일반: 62,000원
    • 따릉이 포함: 65,000원
    • 청년 (만 19~39세): 일반 요금에서 7,000원이 즉시 할인되어 55,000원 (따릉이 포함 시 58,000원)입니다.
  • 사용 범위:
    • 지하철: 서울 시내 모든 지하철 노선과 김포골드라인, 신림선, 우이신설선 등 서울 시내에서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경우에만 사용 가능합니다.
    • 버스: 서울시 면허를 가진 시내버스와 마을버스에 한정됩니다.
    • 이용 제외 구간: 서울 지역을 벗어나는 경기도나 인천 등 타 지역 지하철역, 광역버스, 공항버스, 신분당선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환불 규정:
    • 사용 전: 충전 후 5일 이내에 환불을 요청하면 전액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
    • 사용 중: 환불액은 '충전금 - (대중교통 실 사용액 + 수수료 500원)'으로 계산됩니다.
  • 적합한 이용자:
    • 월 6만 2천원 이상의 대중교통비를 지출하는 사람.
    • 월 40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
    • 주로 서울 시내에서만 통근, 통학하는 사람.
    • 따릉이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

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

 

2. K-패스: 이용 횟수에 따른 환급

K-패스는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환급형 교통카드입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혜택이 적용되며, 특히 대중교통 이용이 잦지 않거나 서울 외 지역을 자주 오가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 환급률 (월 최대 60회까지):
    • 일반: 20%
    • 청년 (만 19~34세): 30%
    • 저소득층: 53%
  • 사용 범위:
    • 전국: 전국 모든 지하철, 시내버스,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능한 구간 포함)
  • 주요 특징:
    • 이용 횟수 제한: 월 최소 15회 이상 이용해야 환급 혜택이 적용됩니다.
    • 환급 방식: 사용 다음 달에 교통비가 환급되며, 카드는 신용/체크카드 기능을 겸하고 있어 사용이 편리합니다.
    • 적합한 이용자:
      • 월 교통비 지출액이 6만 2천원 이하인 사람.
      • 서울 외 타 지역으로 출퇴근하거나 여행을 자주 다니는 사람.
      • 월 대중교통 이용 횟수가 60회 미만인 사람.

 

 

 

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

3. 결론 및 선택 가이드

구분 기후동행카드 K-패스
운영 방식 정기권 (선불) 환급형 (후불)
혜택 범위 서울시내 무제한 전국 월 최대 60회
적합한 이용자 '무제한' 이요이 필요한 서울 생활권자 '전국' 이동이 잦은 사용자
청년 기준 만 19~39세 만 19~34세

 

  • 월 7만 7천 5백원 이상 (일반 기준)의 교통비를 사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가, 그 미만이라면 K-패스가 더 유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자신의 주된 이동 범위가 서울 시내에 한정되어 있다면 기후동행카드를, 서울 밖으로 자주 이동한다면 K-패스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 청년의 경우, 만 35세~39세는 기후동행카드만 청년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 연령대에 속한다면 기후동행카드가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
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
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기후동행카드 신청